지방행정인허가 데이터개방 '전통사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등의 공개된 오픈API를 활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만의사

2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만의사 지도 이미지
주소
경기도 화성시 중동 140
번호
98
개방서비스명
전통사찰
개방서비스아이디
03_07_11_P
개방자치단체코드
5530000
관리번호
CDFD1004
인허가일자
2002-12-03
영업상태구분코드
01
영업상태명
영업/정상
상세영업상태코드
05
상세영업상태명
지정
소재지전화
031-376-6005
소재지전체주소
경기도 화성시 중동 140
도로명전체주소
도로명우편번호
사업장명
만의사
최종수정시점
2002-12-03 16:13:02
데이터갱신구분
I
데이터갱신일자
2020-08-05 00:23:26
좌표정보x(epsg5174)
127.15003221946631
좌표정보y(epsg5174)
37.209591677985486
승려수
3
신도수
0
창립연대
유래연혁
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본사인 용주사의 말사이다. 신라 때 창건되어 당시에는 만의사(萬義寺)라 하였다. 1284년(고려 충렬왕 10) 정길(貞吉)과 현묵(玄默)이 중창하였고, 1312년(충선왕 4) 당시 천태종 진구사(珍丘寺) 주지였던 혼기(混其)가 주지로 부임한 뒤 크게 중창하고 법화도량(法華道場)을 열어 천태종의 중심 사찰이 되었다. 그의 뒤를 이어 의선(義璇)이 사세를 더욱 키웠으며, 충혜왕 때의 주지 묘혜(妙慧)는 요원(了圓)이 《법화영험전(法華靈驗傳)》을 간행할 때 비용을 대주었다는 기록이 있다.<br />고려 말 우왕(재위: 1375∼1388) 때부터는 천태종과 조계종에서 주지를 교대로 맡게 되었다. 이것은 당시 이 절이 사전(寺田)과 노비를 많이 소유하여 부유했기 때문이다. 나라에서는 두 종파간 다툼이 심해지자 노비를 모두 수원부(水原府)에 속하게 하고 절은 천태종이 관할하게 하였다. 1388년(우왕 14) 이성계(李成桂)가 위화도회군을 할 때 공이 컸던 신조(神照)가 주지로 온 뒤부터 다시 노비를 받았으며, 사전 70결도 받았다고 한다. 조선 건국에 공이 큰 까닭에 억불숭유 정책을 편 조선시대에도 비교적 사세를 폈다.
지정취소
아니오
지정취소일자
지정취소사유
전통사찰명
만의사

블로그 리뷰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주변 관광지

근처 그 외 기타 숙박업

근처 펜션

근처 전국 택시승강장 지도

날씨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