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행정인허가 데이터개방 '전통사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등의 공개된 오픈API를 활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천축사

2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천축사 지도 이미지
주소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549
번호
944
개방서비스명
전통사찰
개방서비스아이디
03_07_11_P
개방자치단체코드
3090000
관리번호
CDFD1003
인허가일자
1988-07-18
영업상태구분코드
01
영업상태명
영업/정상
상세영업상태코드
07
상세영업상태명
승인
소재지전화
02-954-1474
소재지전체주소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549
도로명전체주소
도로명우편번호
사업장명
천축사
최종수정시점
2020-07-28 17:27:41
데이터갱신구분
U
데이터갱신일자
2020-07-30 02:40:00
좌표정보x(epsg5174)
127.01928512675597
좌표정보y(epsg5174)
37.694117032690734
승려수
5
신도수
5000
창립연대
유래연혁
천축사는 서울시 도봉구 만장봉 동쪽 기슭에 자리한 사찰로, 이 절을 천축사(天竺寺)라고 이른 것은 고려 때 인도승려 지공(指空)이 나옹화상(懶翁和尙)에게 이곳의 경관이 천축국의 영축산과 비슷하다고 한데서 유래되었다. 천축사의 연혁은 신라 673년(문무왕 13)에 의상대사가 의상대에서 수도할 때, 제자를 시켜 암자를 짓게 하고, 옥천암(玉泉庵)이라 한 것에서 출발하였으며, 그 뒤 고려 명종 때에 근처 영국사(寧國寺)의 부속암자로 맥을 이었다. 이후 조선시대인 1398년(태조 7)에 태조가 옛날 이 곳에서 백일기도하던 것을 상기하여 절을 중창하고 천축사라는 사액을 내렸다.근대에는 1911년에 화주 보허축전(寶虛竺典)이 관음ㆍ신중탱을 봉안하고, 1931년에 주지 김용태(金瑢泰)가 천축사로 오르는 길을 확장하였으며, 이후 수많은 신도들이 천축사 도량에 불사하여 1936년에 현재의 모습을 갖춘 가람이 조성되었다. 지금의 가람은 주지 용태스님 이후인 1959년에 중수된 것으로, 현재 주지 현공(玄公)스님이 주석하며, 2003년부터 2005년까지 대웅전을 비롯하여 독성각ㆍ산신각을 중수하고 요사채와 공양간을 신축하여 천축사 가람을 복원하였다.
지정취소
아니오
지정취소일자
지정취소사유
전통사찰명
천축사

블로그 리뷰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주변 관광지

근처 그 외 기타 숙박업

근처 펜션

근처 전국 택시승강장 지도

날씨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