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행정인허가 데이터개방 '전통사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등의 공개된 오픈API를 활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봉국사

2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봉국사 지도 이미지
주소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동 637호
번호
858
개방서비스명
전통사찰
개방서비스아이디
03_07_11_P
개방자치단체코드
3070000
관리번호
CDFD1003
인허가일자
1988-07-28
영업상태구분코드
01
영업상태명
영업/정상
상세영업상태코드
05
상세영업상태명
지정
소재지전화
919-0211
소재지전체주소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동 637호
도로명전체주소
도로명우편번호
사업장명
봉국사
최종수정시점
2003-06-23 14:08:04
데이터갱신구분
I
데이터갱신일자
2018-08-31 23:59:59
좌표정보x(epsg5174)
127.006242527885
좌표정보y(epsg5174)
37.605600378907
승려수
12
신도수
8000
창립연대
유래연혁
봉국사는 신덕왕후 강씨의 정릉의 원찰(願刹)로 정릉길 옆에 위치한 조계종 소속 사찰이다. 이 절은 고려말 공민왕 3년(1354)에 나옹대사(懶翁大師)에 의해 창건되었다고 하는 설도 있고, 조선초 태조 4년(1395)에 나라의 무궁한 발전을 위하여 당시 왕사(王師)였던 무학대사에 의해 창건된 호국 사찰로 약사사(藥師寺)라고 불렀다는 것이다. 처음에는 법당에 약사여래를 봉안한 관계로 약사사라 하였다. 조선 후기 현종 10년(1669) 태조 이성계의 계비 신덕왕후(神德王后)의 정릉을 수봉(修封)하고 태묘에 제사를 드리게 되면서 정릉의 사초(沙草)를 새로 하는 동시에 정자각(丁字閣),안향청(安香廳),전례청(典禮聽) 등을 새로 세우면서 이 절을 원찰(願刹)로 하였다. 이 때 나라를 받든다는 뜻에서 절 이름을 봉국사로 고쳤다. 그러나 이후의 절 역사는 잘 알려지지 않으며, 조선말 임오군란(1882)때 봉국사가 소실된 것을 한계(漢溪)·덕운(德雲) 두 스님이 힘을 모아 이듬해에 중건, 1898년에 명부전을 중건, 1913년에는 칠성각을 중건, 1979년 10월에 절 입구에 일음루(一音樓)를 건립, 1994년에 안심당을 지어 스님들의 수행정진과 신도들의 신행처로 사용하고 있다.
지정취소
아니오
지정취소일자
지정취소사유
전통사찰명
봉국사

블로그 리뷰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주변 관광지

근처 그 외 기타 숙박업

근처 펜션

근처 전국 택시승강장 지도

날씨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