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행정인허가 데이터개방 '전통사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등의 공개된 오픈API를 활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대승사

2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대승사 지도 이미지
주소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전두리 8
번호
1884
개방서비스명
전통사찰
개방서비스아이디
03_07_11_P
개방자치단체코드
6470000
관리번호
5020000-003
인허가일자
1988-07-21
영업상태구분코드
01
영업상태명
영업/정상
상세영업상태코드
BBBB
상세영업상태명
소재지전화
0545527105
소재지전체주소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전두리 8
도로명전체주소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대승사길 283
도로명우편번호
사업장명
대승사
최종수정시점
2014-04-02 16:15:17
데이터갱신구분
I
데이터갱신일자
2018-08-31 23:59:59
좌표정보x(epsg5174)
128.2719631388049
좌표정보y(epsg5174)
36.74989580438799
승려수
신도수
1200
창립연대
587
유래연혁
대승사는 김룡사를 창건한 운달조사가 그보다 한해 앞선 진평왕 9년 587년에 개산했다 한다. 기록으로는『삼국유사』「사불산 금불산 만불산조」에 관련되어 자세한 이야기가 전한다. <br />죽령의 서쪽100리쯤에 우뚝 솟은 산이 있다. 진평왕 9년 갑신년에 홀연히 큰 돌 하나가 삼면이 모두 한 길이나 되고 사방에 여래상이 이는데, 붉은 비단으로 싸여 하늘에서 이 산의 정상에 떨어졌다. 왕이 이 말을 듣고 수레를 타고가 우러러 예배하고 마침내 절을 창건하고 대승사라 하였다. 『연화경(법화경)』을 강론하는 스님을 청하여 절에 머무르게 하면서 석불을 청소하고 공양과 향불이 끊어지지 않게 하였다. 산 이름을 역덕산 또는 사불산이라 한다. 스님이 죽은 뒤 장사지냈더니 무덤 위에서 연꽃이 피어났다. <br />임진왜란으로 절은 대부분 소실, 1604년부터 중창이 시작되어 근 백년간 중건과 보수가 이어짐<br />대승사는 한때 상적암, 반야암 등 아홉 암자를 거느리기도 했으나 지금은 고려말 나옹 혜륵선사(1320-1376)가 출가하여 득도한 곳으로 알려진 묘적암, 윤필암, 보현암, 총지암만을 거느리고 있다.
지정취소
A
지정취소일자
지정취소사유
전통사찰명
대승사

블로그 리뷰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주변 관광지

근처 그 외 기타 숙박업

근처 펜션

근처 전국 택시승강장 지도

날씨 정보